본문 바로가기
증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주가 급등.. 이유가?

by 코코아빠 2021. 9. 17.
반응형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의 주가가 갑작스레 급등하고있다. 무슨이유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2021년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회의(ESMO Congress 2021)에서 4세대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개발 중인 후보물질(BBT-176)의 전임상 연구 결과 발표에서 임상 효능을 입증했다는 소식이 나왔다.

 

포스터에 따르면 환자 유래 암 조직을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 BBT-176을 1일 1회 31일 투약해 종양이 기저시점 대비 줄었으며, 생체지표(바이오마커)의 약력학적 분석에선 종양의 증식과 관련된 각종 지표들이 약물 용량에 비례해 감소한 결과를 거둔 것으로 확인된다.

C797S를 포함한 EGFR 삼중 돌연변이가 유도된 마우스 종양 모델에서 BBT-176을 1일 1회 6주 투약해 기저시점 대비 뇌 전이 종양이 억제된 것도 확인됐다고 밝혔다.

 

최대 내약 용량(MTD) 및 2상 권장용량(RP2D)이 결정된다면 미국과 우리나라에서 용량확장 시험 단계에 돌입할 수 있게 된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BBT-176 임상 1·2상 전개와 더불어 동반 진단기기 등을 활용하는 등 비소세포폐암 치료에서의 BBT-176의 다양한 발전 가능성에 집중하고 있는 모습이다.

BBT-176

"BBT-176은 표적항암제 방식의 비소세포성폐암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다"

 

후보물질 소개

BBT-176은 C797S 특이 EGFR 돌연변이를 표적 치료하는 신규 표피성장인자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EGFR TKI;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2021년 4월, 임상 1·2상의 첫 단계인 용량상승시험의 첫 환자 투약을 한국에서 개시했으며, 해당 시험이 마무리되면 안전한 범위 내에서 약효를 나타내는 특정 용량을 바탕으로 미국과 한국에서 용량확장시험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C797S 돌연변이로 인해 3세대 비소세포폐암 표적 치료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환자들은 연간 약 8,000여 명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BBT-176은 전세계적으로 C797S 변이를 겨냥한 4세대 치료제 후보물질 중 개발 단계가 가장 앞서 있습니다 BBT-176은 2018년 12월 한국화학연구원으로부터 브릿지바이오가 전세계 독점실시권을 확보하여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1년 유럽종양학회 발표자료

bbt-176_poster presented at esmo 2021 (1).pdf
3.08MB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