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구리

8월 29일 경술국치(합병조약 전문, 조기 게양 방법)

by 코코아빠 2022. 8. 29.
반응형

 

1910년 8월 29일

일제에 의해 우리나라의 국권을 상실한 치욕적인 날

'국가적 치욕'이라는 의미에서 경술국치라 한다.

 

이날은 일제가 우리나라에게 '통치권을 일본에 양여함'을 규정한 한일병합조약을 강제로 체결한 날이다.

즉 한국이 일본에 완전히, 그리고 영구히 병합된다는 조약이다.

 

지금 이 시간 경술국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아픈 역사조차도 기억할때 우리의 역사는 더욱 건강해진다.

 

우리나라는 1910년 8월 29일 일제에 국권을 강탈당한다.

경술년, 국권을 상실한 치욕의 날

그리서 우리는 이 날을 경술국치일이라 한다.

 

1876년 일본은 조선과 강화도 조약을 체결한다.

그저 물건을 사고 파는 작은 관계가 시작되는 조약이지만 이때부터 일본에게 이권을 야금야금 빼앗기기 시작한다.

 

최초의 철도 경인선(서울과 인천을 잇는 한국 최초의 철도)

러·일 전쟁을 위한 경부선(서울과 부산을 잇는 복선 철도), 경의선(서울과 신의주를 잇는 복선철도)

 

그다음은 경제 시스템마저 장악해 들어간다

우리나라 돈을 일본 화폐로 바꾸어 나가는 작업의 시작 메가타의 화폐 정리 사업

 

이후 식민지 토지를 확보하기 위해 동양척식 주식회사마저 세운다.

이러한 경제수탈뿐만아니라 러일 전쟁 수행을 위해 

조선의 땅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는 1904년 2월 한일의정서 체결

내정 간섭을 위한 고문을 파견한 1904년 제1차 한일협약의 체결

외교권을 강탈했던 1905년 을사늑약(제2차 한일협약) 체결

고종을 강제 퇴위시키고 군대를 해산시킨 1907년 7월 정미 7 조약(한일 신협약) 체결

 

정말 치밀할 정도로 정교하게 우리의 이권과 주권을 잠식해 들어 온 일본

그리고 이들은 이 땅을 완전한 일본의 식민지로 만들려 한다.

 

1910년 8월 22일 형식뿐인 어전회의가 개최되고 이완용과 데라우치의 이름으로 한일병합조약이 조인된다.

그리고 일주일 뒤인 8월 29일 일본의 한국 강제 병합조약이 공포되면서 대한제국의 국권을 상실하게 되었다.

이 참담한 기억의 역사가 아주 먼 옛날이 아니라 고작 100여년 전의 일이다.

 

경복궁에 일장기가 걸렸던 참담한 모습

다시는 우리 뒤에 오는 사람들에게 이런일이 없기를

 

경술국치

 

 

대한민국과 일본제국 합병조약 전문

한국 황제 폐하와 일본국 황제 폐하는 두 나라 사이의 특별히 친밀한 관계를 고려하여 상호 행복을 증진시키며 동양의 평화를 영구히 확보하자고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면 한국을 일본국에 병합하는 것이 낫다는 것을 확신하고 이에 두 나라 사이에 합병 조약을 체결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 황제 폐하는 내각 총리 대신 이완용(李完用)을, 일본 황제 폐하는 통감인 자작 사내 정의를 각각 그 전권 위원으로 임명하는 동시에 위의 전권 위원들이 공동으로 협의하여 아래에 적은 모든 조항들을 협정하게 한다.

 

한국 황제 폐하는 한국 전체에 관한 일체 통치권을 완전히 또 영구히 일본 황제 폐하에게 양여함.

일본국 황제 폐하는 앞조항에 기재된 양여를 수락하고, 완전히 한국을 일본 제국에 병합하는 것을 승낙함.

일본국 황제 폐하는 한국 황제 폐하, 태황제 폐하, 황태자 전하와 그들의 황후, 황비 및 후손들로 하여금 각기 지위를 응하여 적당한 존칭, 위신과 명예를 누리게 하는 동시에 이것을 유지하는데 충분한 세비를 공급함을 약속함.

일본국 황제 폐하는 앞 조항 이외에 한국황족 및 후손에 대해 상당한 명예와 대우를 누리게 하고, 또 이를 유지하기에 필요한 자금을 공여함을 약속함.

일본국 황제 폐하는 공로가 있는 한국인으로서 특별히 표창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대하여 영예 작위를 주는 동시에 은금(恩金)을 줌.

일본국 정부는 앞에 기록된 병합의 결과로 완전히 한국의 시정을 위임하여 해당 지역에 시행할 법규를 준수하는 한국인의 신체 및 재산에 대하여 전적인 보호를 제공하고 또 그 복리의 증진을 도모함.

일본국 정부는 성의충실히 새 제도를 존중하는 한국인으로 적당한 자금이 있는 자를 사정이 허락하는 범위에서 한국에 있는 제국 관리에 등용함.

 

본 조약은 한국 황제 폐하와 일본 황제 폐하의 재가를 받은 것이므로 공포일로부터 이를 시행함.

 

위 증거로 삼아 양 전권위원은 본 조약에 기명 조인함.

융희 4년 8월 22일 내각총리대신 이완용 메이지 43년 8월 22일 통감 자작 데라우치 마사타케

 

 

1926년 4월 26일

순종황제의 마지막 유언

 

"지난날의 병합 인준은 일본이 역신과 더불어 제멋대로 해서 제멋대로 선포한 것이오. 나의 한 바가 아니라.

여러분들이여 노력하여 광복하라.

짐의 혼백이 명명한 가운데 여러분을 도우리라."

 

 

6월 6일 현충일(조기 게양 방법)

 

6월 6일 현충일(조기 게양 방법, 시간)

◈ 현충일이란? 현충일은 그냥 빨간날, 노는 날이 아닙니다. 현충일은 우리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쳐서 지키신 분들을 추모하기 위해 지정된 법정기념일이죠.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순국선열

paili.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