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맞춤법 제1항에 보면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그러다 보니 발음이 똑같아서 정확한 맞춤법을 모르고 쓰는 단어들이 많네요.
쉽지 않은 우리말~~ 오늘도 하나 배우고 갑시다.!!
오늘은 '왠'과 '웬'의 차이와 쓰임 법에 대하 알아봅시다.
'왠'과 '웬' 어떻게 구분할까?
'왠'하고 '웬'하고 구분하는 것은 이것 하나만 기억하면 어렵지 않습니다!
'왠'은 '왠지'라고 쓸 때만 사용하는 말입니다.
왜인지의 줄임말로 왜 그런지 모르게, 또는 뚜렷한 이유도 없이를 뜻하는 부사입니다.
- 왠지 그 사람이 올 것 같아.
- 오늘은 왠지 느낌이 좋다.
- 왠지 말해줄 수 있어?
'웬'은 어떠한, 어찌 된 이라는 뜻을 가진 새, 헌, 이, 그, 저 와 같은 명사 앞에서 명사를 꾸며주는 관형사입니다.
관형사가 명사 앞에 쓰일 때는 항상 띄어쓰기를 해야 하니 주의하세요!
- 여기 웬 사람들이 이렇게 많아?
- 아니 이게 웬 떡이야?
- 웬 걱정이 그리 많아?
- 웬일이니?
여기서 의문이 한 가지 발생합니다. '웬일이니?'라는 표현에는 '웬 일이야'라고 띄어 쓰지 않습니다.
'웬일'은 하나의 단어이므로 단어는 붙여 사용합니다.!
이제 확실하게 구분하실 수 있겠죠?
헷갈리지 말고 우리말 올바르게 사용합시다.^^
바람과 바램의 차이
'바람'과 '바램'을 은근히 헷갈려 혼동하는 사람이 많더라고요. (저 포함..) 소리 나는 대로 발음을 하다 보니 어느 순간 헷갈려버린... 우리말 참 쉽지 않네요~ 오늘도 하나 배우고 갑시다. '바람'
paili.tistory.com
되와 돼의 구분
되와 돼 발음이 비슷해서 구별하기가 쉽지 않네요 어떻게 구분해야 편하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 '되' 와 '돼' '되'는 그냥 '되'고요 의 준말이고 '돼'는 '되어'의 준말이다. '되어'를 넣어서 말이 되
paili.tistory.com
대 와 데의 구분
쉬운듯 하면서 어려운 한글.. 이상하게 대와 데가 헷갈리네요 문장끝의 오는 "대" 와 "데" 어떻게 쉽게 구분할까요? 우선 '대'는 ~~다(고)해의 줄인 말입니다. 1. 자기가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paili.tistory.com
안과 않의 차이 구분 및 띄어쓰기
안과 않이 은근히 헷갈려 혼동하는사람이 많네요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인가봐요ㅎㅎ 이 기회에 차이를 확실하게 알아봅시다. '안'은 '아니'의 준말로 부정을 뜻하는 부사입니다. 부사는 서술어
paili.tistory.com
'잡다구리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서 로써 차이 구분하는 법(+꿀팁) (0) | 2021.05.27 |
---|---|
귀신 꿈해몽 정리 (0) | 2021.05.26 |
바람과 바램의 차이 (0) | 2021.05.18 |
되와 돼의 구분 (0) | 2021.05.12 |
대 와 데의 구분 (0) | 2021.05.12 |
댓글